4대보험 가입확인 발급방법

반응형

회사에 다니면 반드시 들어야 하는 4대 보험, 월급내역으로 4대 보험이 빠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나의 4대 보험이 얼마나 들어갔는지 문득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4대 보험 가입확인 및 발급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4대보험 가입확인서
4대보험 가입확인서

▣ 목차

● 4대 보험 정의 및 개요 

● 4대 보험 가입여부 확인 방법

● 4대보험 종류

 

4대 보험 정의 및 개요

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4개로 나눠 정부가 직접 공적으로 운영과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는 국민으로부터 보험료를 받아 국민 개인의 건강 및 최소한의 생활권 보장과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제도입니다.

 

4대 보험 가입여부 확인 방법

직장을 그만둘 때는 지역 가입자로 전환해야 하고, 새 회사에 취직할 때는 가입 여부를 확인해 보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고용노동부를 통해 필요한 고용보험이나 구직 활동 등을 할 때 회사에서 가입된 4대 보험 만료 업무처리를 통해 본인이 직접 확인 및 인터넷을 통해 4대 보험 가입 여부와 만기 현황을 확인하고 문서로 서류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을 4대 보험이라고 합니다.

검색포털에서 4대 사회보험 정보 연계센터 사이트에서 검색 후 쉽게 홈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4대 사회보험 정보 연계센터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 후 '인증서 발급'을 누릅니다.

3.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및 고유식별정보 처리 체크 후 '확인'을 누릅니다.

4. 인증서 발급과 관련하여 내용을 확인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5. 개인용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의 '신청을 클릭합니다.

6. 4대 사회보험이 모두 처리될 준비가 되면 하단의 '출력'을 누릅니다.

 

4대 사회보험 가입자 확인서가 인쇄됐습니다. 내역서에는 주민등록번호, 성명, 현재 가입하고 있는 업종, 사업장 관리번호, 사업장 명친, 자격취득일자(신고일자)가 표시됩니다.

 

4대 보험 가입한 과거의 이력을 보고 싶으면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가 아니라 자격 득실 확인서를 발급받으면 됩니다.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에는 현재 상태만 보입니다.

 

 4대보험 종류

국민 연금

개인이 근로·사업 등 소득활동을 할 때 납부하는 보험료입니다. 이 보험료를 기반으로 하여 내는 국민연금 금액을 기준으로 연금을 지급해 나이가 들거나 사고·질병·사망 또는 장애를 입어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최소한의 생활권을 보장하는 연금제도를 말합니다.

 

건강 보험

국민건강보험이 진료 중 과도한 의료비 지출을 막기 위해 운영하는 사회보장제도로, 매달 건강보험료를 납부해 필요시 보장급여를 제공받아  의료서비스를 받는 제도입니다.

 

산재보험

산업재해 근로자와 그 가족의 최소한의 생활권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는 사업주에게 직종에 따른 보험료를 납부받아 해당기금으로 사업주를 대신하여 산업재해 근로자에게 보상해 주는 제도입니다.

 

고용 보험

근로자가 실업상태에 있을 때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하고 새로운 구직활동을 위한 직업능력을 향상·발전시킬 수 있도록 실업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는 생활안정만을 위한 정책이었지만, 고용을 촉진하고 실업을 예방할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신청 후 기존에 가입한 4대 보험의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출력을 통해 가입내역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대 보험 가입 여부를 직접 확인하고 발급받는 방법과 4대 보험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