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 면제한도 납부기한

반응형

인생에서 가장 멋진 것이 자수성가 입니다. 오로지 부모도움 없이 자수성가를 꿈꾸며 부모님이 주시는 재산 형님 동생들 한테 양보하고 달리는 분들 응원 합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납부기한, 세율, 취득시기 및 신고기한, 비과세 증여재산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증여세 면제한도 납부기한

 

증여세

증여세는 세대 간 재산을 양도하는 것을 말하며, 증여받은 사람은 이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합니다. 가족간 증여를 할 때 한번생각해야 할 중요한 것 중 하나 입니다.

증여세는 재산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무상으로 받은 사람이 내는 세금입니다. 증여받은 사람은 증여세 신고납부 의무가 있고, 증여받은 사람이 법인일 경우 법인세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증여세 감면한도

증여세 면제는 증여재산에 대해 일정 비율의 세금을 면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동일인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 10년 이내에 증여재산의 가액을 합산하여 과세합니다. 이 경우 아버지와 어머니는 동일인으로 산정됩니다.

 

    ▣ 증여세액공제한도

증여자 증여세감면한도
부부(배우자) 6억 원
직계존비속(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5천만 원
직계비속(성인자녀)  5천만 원
직계 비속(미혼 자녀)  2천만 원
기타 친척(이모, 이모, 삼촌 등) 1천만 원
형제 자매 1천만 원
며느리 1천만원

 

증여세율

증여세율은 부모, 조부모, 형제자매, 자녀, 손자녀 등 가까운 친척으로부터 부동산, 현금, 증서 등의 형태로 받은 재산에 대해 수급자가 세금으로 내야 하는 금액의 비율입니다. 국세청이 매년 증여세율을 공개하는데, 지금은 10%에서 50%까지 다양한 증여세율이 나오고 있습니다.

증여세율은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증여세율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억 원 이하 10% 0
1억 원 초과 5억 원이하 20% 1천만원
5억 원 초과 10억 원이하  30% 6천만원
10억 원 이상 30억 원 이하 40% 1억 6천만원
30억 원초과 50% 4억 6천만원

 

증여세 계산 예제

◆ 부모가 성인 자녀에게 1억 원을 주는 경우(증여)

1억 원 - 5천만 원(자녀면제한도) = 5천만 원 x 10%(세율 1억 원 이하) = 500만 원

 

증여할 계획이라면 미성년 자녀일 때부터 10년마다 미리 증여하면 절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창업자금 10%, 가업승계용 주식등 해당시 30억 원 한도 내 10%, 30억 원 초과분 20%에 대해서는 특별세율이 적용됩니다.

 

증여세 신고기한

증여재산은 증여재산이 속하는 달의 말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예: 2023년 5월 5일 증여 → 5월 31일~8월 31일 3개월 이내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 취득시기는 증여가 이뤄진 날입니다. 무상승계 취득을 위한 취득시기는 증여계약서 작성으로 보고 증여세는 증여를 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납부해야 하며, 이후에는 연체료가 부가됩니다.

 

비과세 증여 재산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기부받은 재산

◆ 정당법의 규정에 의하여 정당이 기부한 재산

◆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금전적 지원 및 의료비 등에 대한 금품

◆ 「장인복지법」에 따라 등록된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의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등록된 부상자의 수급자에 대한 보험금(연 4천만 원 이하)

 

만약 증여를 계획하고 있다면, 미리 예측하고 세금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 세율, 신고기한과 취득시기, 비과세 증여재산 등을 알아봤습니다.

많은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