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끌어 당기는 이야기 / / 2023. 7. 12. 06:52

우량채권 골라담기 금리와 반대로 가는 채권

반응형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긴축경제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올해 두 차례나 금리를 올리겠다는 파월 연준 의장의 의지가 엿보여 당분간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주식 변동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주가가 불안할 때 금리와 반대로 가는 채권에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신용 위험이 적은 국공채공채 채권 국공채 펀드및 채권투자 시 주의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량채권 골라담기
우량채권 골라담기

금리와 반대로 가는 채권

지난 6월 호주와 캐나다에 이어 영국도 금리를 올렸고,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도 올해 두 차례 금리 인상 의지를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한국은행도 고민이 많으리라 봅니다.

 

한국은행은 2023년 1월 기준금리를 3.5%로 0.25% 포인트 인상한 이후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있는데 금리인하는 선을 그었지만 지금까지 누적된 긴축효과가 가계부채에 부담을 줄 수 있어 금리인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금리가 언제 떨어질지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장기적으로 경기 둔화와 완만한 물가 상승으로 금리 하락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금리와 채권은 반대로 가기 때문에 이 경우 금리와 가격이 반대인 채권을 산다면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는 채권으로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량채권 골라담기 우량채권 골라담기 우량채권 골라담기
우량채권 골라담기

국공채 채권

국공채 채권이 처음이라서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신용등급이 높은 정부에서 발행하는 국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으리라 봅니다. 왜냐하면 정부는 아무리 힘들어도 개인의 돈을 못주는 일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반 회사채보다 신용위험이 낮은 국공채 채권은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리가 내려가면 되팔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국공채 펀드

직접투자에 부담을 느낀다면 국공채펀드로 간접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자본금이 적어 직접 채권을 사기가 부담스럽다면 양질의 채권을 선별해 투자하는 펀드로도 간접투자가 가능합니다.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기업 신용위험 또한 증가할 것입니다.

국공채펀드'는 국채, 지방채, 특별채, 우량 회사채 등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만기가 3~5년 남은 국채 위주로 투자해 리스크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총자산의 약 30% 이상의 신용등급을 가지고 있으며, 우량 금융채와 회사채에도 투자해 수익성을 높였는지 따져 봐야 할 것입니다.

 

한국에서는 위험이 없는지, 국채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 통화안정채권 등 무위험 채권인지, 포트폴리오를 보면서 회사별 자산상태를 살펴보는 것도 좋으리라 봅니다.

 

 

채권투자 시 주의점 2가지

 

1. 채권투자의 첫발을 내딛고 싶다면 꼭 살펴봐야 할 것은 주로 만기 3~5년 내외의 중기 국채

2. 국채 또는 통화안정채권 등 신용등급 AAA등급의 우량채권

거기에 하나 더 첨부한다면 더 나은 수익을 추구하기 위해 다양한 투자 전략을 짜는 전문가들이 있으면 좋으리라 봅니다.

 

오늘은 금리와 반대로 가는 채권, 국공채 채권 국공채 펀드 및 채권투자 시 주의점을 알아보았습니다. 채권에 관심이 많은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같이 보시면 최고죠

 

채권이란 이자율과 반대로 움직이는 채권

부동산 시장과 주식시장이 어렵고 은행이자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채권 가격과 이자율은 역상관관계에 있기 때문에 지금은 채권투자에 관심을 가져 볼만합니다. 상승한 이자율만큼 채권가격

miri1000.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